《문학칼럼》만해 한용운

최용대 기자

등록 2025-08-04 21:48

만해 한용운 .

광복절이 다가온다. 이 날에 자주 언급되는 이름 중 하나는 식민지시대 민족 지도자' 중에서 보기 드물게 일제와의 일체 타협을 거부한 걸로 유명한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이다. 만해와 가장 가까운 사람 종의 한명인 사회주의자 홍명희(1888-1968)를 비롯한 식민지 대의 진보적 인사들을 최근 몇년 전까지도 거의 언급할 수 없었던 데에 비해서 만해의 '사후의 운명'은 비교적 순탄했다. 군사정권들도 만해를 민족독립운동가로서 기리지 않을 수 없었고, 1960-80년대의 재야 지식이 들에게도 만해는 애국애족과 권력자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었다. 한마디 로 만해의 모습은 수난시기의 민족영웅의 상이었다. 민족영웅. 만해가 일찍이 1900년대 후반부터 근대적인 민족주의의 이념을 익히고 1900ㅡ30년대의 민족운동의 선봉에 선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만해의 가장 귀중한 측면은 바로 서구가 만든 근대적 민족주의를 동시에 뛰어넘을 줄 알았던 것이었다. 만해가 늘 "석가모니는 인도인뿐만 아니라 전세계, 전우주를 위하면서 깨달았다"고 강조하는 등, 그는 종교에 있어서는 국경과 민족의 차별을 인정하지 않았다. 민족주의를 거의 절대적인 진리로 생각했던 그 당시의 일반 지식인과 만해의 세계 인식이 얼마나 달랐는지를 만해와 인기잡지 (삼천리)기자 사이의 문답은 잘 보여준다 석가모니가 만약 조선에 다시 태어난다면 열렬한 민족주의자가 되지 않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만해는 다음과 같이 예상 밖의 방식으로 대답했다.


"조선의 일만 아니하시겠지요 (..) 부처님은 삶과 죽음을 초월하셨거니와 생물과 비생물이나 시간과 공간도 모두 초월하셨습니다. 말하자면

전우주의 혁명을 기도하는 것이 부처님의 이상이였으니까 비단 조선 한 곳만을 위하시어 분주하시지 않았을 것입니다. (..) 부처님이 구제운동을 일으킨 것은 전우주의 만유(효)가 오직 그 대상이 될 뿐이었습니다. (.) 부처님은 전세계 인류 중 유독 조선사람만을 구제해야 하겠다

는 사상을 가지신 것은 아닐 것입니다. 또한 조그마한 국경이나 혈족에

구분을 지으실 이가 아닙니다. 천하의 모든 인류가 모두 평등하고 자유로운 거기에 이상이 있었을 따름이었습니다." ㅡ <삼천리> 1931년 2월호

만해가 구상하는 미래의 사회는 세계주의와 평화주의의 사회이었다.

'군대'를 인류에 가장 큰 위협을 주는 존재로 봤던 만해는, '군축'을 논의

하는 열강의 위선을 파헤치고 '군축'이 아닌 세계적인 군비( ) 철폐야말로 세계평화로의 유일한 본격적인 길이라고 주장했다( <신동아> 1932년 2월호). 일본제국의 어용불교 식으로 왜곡될 대로 왜곡돼버린 '호국불

교'의 유령에 계속 기대려는 우리들을 깨우치는 만해의 말씀이다. <공산당 선언> 이 "무산자에게는 조국이 없다"고 선포하기 2천3백년 전에, 석

가모니는 진리를 구하는 이에게 혈족도 국경도 중요하지 않다는 말을 이미 한 바 있다. 불교가 들어온 지 이미 1천6백여년이 지난, 그리고 1920

년대와 1980년대에 맑스주의의 열풍을 경험하기도 한 이 나라 한국에서,

.우리는 왜 여태까지 국가주의의 시각올 제대로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가?


그 당시, 1920년대 말에서 1930년대 초에 일본불교의 국가주의적인

편향을 조선에서 불교의 세계주의적.우주주의적 원리로 비판한 사람은

만해뿐이었다. 러 . 일전쟁 직전에 러시아 연해주를 여행하고 일제의 강점 직후에 만주를 여행했을 때 민족운동가들에게 일본 간첩으로 오인받아 두번이나 죽을 위기를 넘긴 만해는 민족주의적 폭력이 때로 무고한

사람도 희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만해를 비폭력주의자인 간디

(1869-1948)와 자주 비교하는데, 그는 '민족단결'의 이념 이면에 도사리

고 있는 전체주의의 위험을 예리하게 지적한 인도의 시인 타고르

(1861-194])와도 통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한 측면으로 봐서는, 만해가 타고르의 시 한수를 번역하여 <님의 침묵>에 실은 것은 결코 우연으

로만 보이지 않는다. 그 당시의 중국의 교조주의적 좌파들에게 "복고주의자", "진보적 투쟁에 딴지를 거는 추상적인 관념주의자"로 맹렬한 비난

을 받고 있었던 타고르를, 만해가 이해해주고 옹립한 것이다.


식민지시대가 낳은 가장 뛰어난 ' 근대성의 비판자였던 만해는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자본주의도 인류가 지나가야 할 낮은 발전의 단계로 생각했다. 그는 소작쟁의를 일으켰던 농촌빈민을 지지하고 미래의 이상을 불

교적 사회주의'(소유욕 없이 평등하게 살 수 있는 사회)로 설정하는 등

'종교적 진보주의자'로서의 성향을 지녔다. 불교의 논리가 바로 모든 존재들의 절대적인 평등인만큼 경제적인 평등도 실천돼야 된다는 것은,

1910년대 초부터 말년까지 만해의 일관된 주장이었다. 그럼에도 그는 소련을 '지상낙원'쯤으로 생각했던 그 당시의 좌파와는 달리 소련에서의 종

교탄압에 대한 자료를 발표하는 등 실천의 문제점에 대한 예리한 비판의

식을 가졌다. 무엇보다 그는 소련의 볼셰비키가 제창하여 동아시아의 교조주의적인 좌파가 그대로 따랐던 소위 반 종교 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하곤 했다. 맑스 이전에 이미 평등과 무소유를 이상으로 삼았던 불교를 상대로 맑스주의자들이 왜 구체적인 이해도 없이 무조건 '투쟁'만 하려고 하는가, 라는 것은 만해가 던진 질문이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는 '반종교 운동'을 전개했던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에 대해서 전혀 적의를 가진 적이 없었다. 오히려 이 운동을 계기로 삼아 진정한 종교의 본질과 어울리지 않는 지배층과의 유착 같은 문제에 대해서 종교인들이 스스로 반성하여 평등과 무소유의 이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소련뿐만 아니고 우파의 숭배 대상이었던 서구에 대해서도, 만해는 고대 회랍철학과 대승분교의 논리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등 놀라울 정도

의 지적인 관심을 가지면서도 늘 비판적으로 봤다. 대다수의 식민지 지식인들이 서구국가들의 '국민통합'이나 '국민정신'을 선망했지만, 만해는

1910년 대 초기부터 "국가와 종교의 미신으로 민중의 정신을 세뇌시켜 무고한 사람들을 총알받이로 만드는" 서구의 애국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해 경악을 금치 못했다. 거의 모든 우파 지식인들이 서구의 사회진화론적

등식대로 약육강식을 '절대법칙'으로 생각했지만 만해는 "인종의 우열을

논하지 않는 세계주의 시대"가 도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만해는 '독립

운동가'였지만 그는 일제로부터의 정치적 독립뿐만 아니라 서구로부터의

지적인 독립, 그리고 인간의 보편적인 자유와 평등을 추구했다.

폭력 숭배와 민족주의 등의 서구적 관념에 대한 무비판적 태도 등으로

점철된 근대사를 생각한다면 만해의 존재는 삼복더위 속의 시원한 바람

처럼 느껴진다. 한국인으로서 만해의 사상이 나라 밖에서 잘 알려져 있

지 못한 점을 아쉽게 여기지만, 내가 알고 있는 탈법근대 사상가로서

의, 정신적인 아나키스트로서의, 평화주의자이자 세계주의자로서의, 불교

적인 '해방신학자'로서의 만해의 도전적이며 해탈적인 모습이 국내 저술

에서마저도 잘 찾아지지 않는 것은 더욱 아쉽다. 그래도 한국역사 속에

서 근대의 환상을 넘어선 박애주의자 만해가 있기에 우리에게 희망이 있

다고 생각한다.

최용대

최용대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05
오픈일자2025-07-05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