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한 편 / 산문 한 편 ❸

박상봉 기자

등록 2025-08-08 12:24

| 시 | 말복


박상봉

 

발아래 흐르는 강물 물끄러미 내려다보는 날이다

주머니 속에 감춘 우울 만지작거리는 날이다

큰 잎사귀 위에 잠시 앉아 쉬기도 하는 날이다

아득했던 소식도 쉽게 찾아오는 날이다

약속 없이 애인을 만날 수 있는 날이다 

덥거나 뜨겁거나 한 일을 잊고 바쁘게 움직이기도 하는 날이다

땀으로 목욕한 듯 등판이 칙칙 달라붙는 하루

땡볕에 뜨겁게 달구어진 아스팔트

쥐덫이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새다

목구멍 깊숙이 새초롬한 사과꼭지 하나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다

철커덕 발목 걸려들고 싶은 팜므파탈이다

주릿대 꽁꽁 묶인 그리움

곰삭아 찌찌 지린내 나는 돼지부랄이다

귀뚜라미 우는 소리가 성스러운 밤이 오기도 전에

찔끔 오줌부터 지리는 견딜 수 없는 말복이다


| 산문 | 말복


내일이 말복이다. 복날의 복(伏) 자는 사람(人)이 개(犬)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이다. 그래서 복날을 보신탕 먹는 날이라고 농을 치는 사람도 있지만 음양오행에서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는 날로 본다. 여름의 뜨거운 화기(火氣)에 눌린 가을의 서늘한 금기(金氣)가 초복ㆍ중복ㆍ말복에 엎드리고 나면 여름은 지나간다.


지금은 삼계탕이 복날의 대표음식이지만 옛날의 복날 대표음식은 보신탕이었다. 예로부터 대부분의 농경사회에서 여름철 보양음식으로 개고기를 즐겨 먹는 풍습은 지혜롭게 여름을 나는 방법 중 하나였다. 


폭염이 계속되는 한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려 쉽게 지치게 되는데 이럴 때 몸 보신용으로 개고기를 먹으면서 체내의 부족한 기운과 잃었던 입맛을 북돋우고 체력과 면역력을 높이기도 하였다.


개고기는 조선시대의 평민들이 자주 먹던 보양식으로 어느 푸줏간에서나 개고기를 볼 수 있었다. 특히 임진왜란이나 일제 강점기, 6.25 전쟁 등 먹을 것이 극히 귀했을 때 많이 먹었다.


게다가 여름처럼 더워서 체력소모가 많은 계절에는 쉽게 구할 수 있는 훌륭한 단백질원이 필요했는데, 소는 농사일에 필요했고, 돼지는 잔칫날에나 잡는 귀한 동물이었다. 그래서 특히 서민들이 고기로 먹을 수 있는 만만한 것은 개나 닭이었다. 


특히 탕으로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 개였기 때문에, 개장, 혹은 개장국은 곧 탕을 대신할 정도로 흔하게 쓰였다. 육당 최남선이 저술한『조선상식(朝鮮常識)』에 보면 보신탕이 입맛에 맞지 않는 사람들은 쇠고기로 끓인 육개장을 먹으며 여름 무더위를 이겨냈다고 한다. 


지금은 개는 식용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가 많이 늘어나면서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탕이 각광받고 있다. 개고기를 팔던 식당들이 염소고기로 바뀐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고기의 맛도 개고기와 비슷하면서도 호불호를 적게 타기 때문에 가격이 기존의 보신탕보다 훨씬 비싸지만 찾는 사람이 늘어 흑염소탕은 요즘들어 홈쇼핑에서도 불티나게 팔리는 인기 식품으로 자리잡았다.


개는 가축 1호로 인간 세상에 발을 디디고 가장 일찍이 인간의 품안으로 들어와 인간과 같이 희노애락을 나누며 살고 있다. 애완견에서 이제는 당당히 반려자로 신분이 격상되어 지구상에 그 어떤 동물보다 그 지위와 품위가 당당해졌다.  


집에서 개를 키워본 건 초등학교 때로 아주 먼 기억 속에 남아있다. 털이 거칠어 만지고 싶지 않았지만, 머리 위에는 유독 부드러워 나는 머리만 쓰다듬었다. 


이름이 해피였고, 하얀 멍멍이였다. 진돗개는 아니었던 것 같은데 귀가 우뚝 서 있고 제법 잘생긴 편이지만 혈통을 알 수 없는 잡종견이었다. 눈은 검다 못해 새까맸다.  샛별처럼 눈이 초롱초롱하고 반짝거렸다. 속눈썹이 길고 쌍꺼풀이 있어 어찌나 이뻤던지 그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다. 

 

 지금의 애완견처럼 방에서 온갖 호사를 누리며 잘 먹고 잘 사는 개가 아니라 마당가에 묶어놓고 키운 똥개였다. 순하디순한 순둥이 착한 개여서 들로 일하러 지나가는 사람들이 목이 말라 물이라도 마시러 열린 대문으로 들어와 수돗가로 들어와도 짖지도 않고 엄마의 인심을 닮아서인지 펌프질해서 시원하게 마시고 가라는 듯 다리 펴고 편안히 바라만 보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그렇다고 아무나 보고 꼬리를 흔드는 그런 지조 없는 개가 아니라 주인의 말에 순종하며 부르면 언제든지 와서 납작 엎드리던 충견이었다. 개들도 치매나 건망증이 있는 건지 어느 여름날 집을 나간 해피가 돌아오지 않았다. 지금 생각하니 개장수가 몰래 데리고 갔을 수도 있었겠구나 싶다. 


개를 잃고 나서 잘 돌봐주지 못해 미안했다. 어릴 때 개가 남긴 아픈 추억이 상처가 되어 가슴 한켠에 옹이로 박혀 있었다. 나중에 “걱정하지마, 걱정하지마”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주문을 외듯이 외며 “다 잘될 거야, 행복할 거야”라며 반복하는 바비 맥퍼린의 노래 「돈 워리 비 해피」를 듣게 되었는데 이 노래를 듣고 있으면 잃어버린 해피가 더 생각났다. 


「돈 워리 비 해피」를 듣고 있으면 걱정도 근심도 다 사라지는 것만 같다. 아픈 기억도 잊혀지면서 곧 행복이 눈앞에 다가와 있는 듯한 환상처럼 착시현상을 불러오는 것 같기도 하다. 어떤 일 때문에 마음에 아픔과 상처가 있다면 이 노래를 들으면서 조금이라도 위안을 받았으면 좋겠다.

|박상봉 시인 


경북 청도 출신으로 대구에서 성장. 1981년 박기영·안도현·장정일과 함께 동인지 『국시』동인으로 문단활동 시작. 주요 시집 『카페 물땡땡』(2007), 『불탄 나무의 속삭임』(2021), 『물속에 두고 온 귀』(2023) 출간,  근현대 문학·예술 연구서 『백기만과 씨뿌린 사람들』 공저(2021). 고교시절부터 백일장·현상공모 다수 당선. 1990년 현암사 『오늘의 시』 선정, 제34회 대구시인협회상 수상.  북카페·문화공간 ‘시인다방’ 운영, 시·IT융합 문화기획, 중소기업 성장 컨설팅 전문가.

박상봉

박상봉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17
오픈일자2025-07-22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