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용대 평론] 조세핀시인의 샤스 스플린 (Chasse Spleen) 작품을 읽고

이원희 기자

등록 2025-08-08 17:08

문학 작품으로 마시는 한잔의 와인같은 시

조세핀 시인 칼럼리스트


샤스 스플린* / 조세핀





손가락 끝에서 실을 뽑는다 붉어서 가느다랗고

끈적한 너를 애무하듯 감는다


너는 둥글어지고 나는 가벼워진다


도마뱀 꼬리가 되기로 했던 구멍 난 마음처럼

잘라도 또 자라나는 잡초 같다


너는 맹독성이다


순전한 얼굴로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얹고

무희의 몸짓으로 다가온다 닿을 듯 말 듯


먼 곳에 있는 구름이 얼음기둥이 된다


말을 나르던 생기가 혀끝에서 돋아나고

불가해한 끈이 되어 길게 꼬아진다


부서졌다 다시 살아나는 포말처럼


오랫동안 아주 오랫동안

나를 휘감고 있는 매듭이 하나 둘 풀어질 때

마침내 알았다 너로 인하여 완전해질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처음부터 흰색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들레르가 마신 뒤에 우울함을 떨쳐버렸다는 유명한 와인의 이름



최용대 주필


문학 작품으로 마시는 한편의 와인같은 시, 

조세핀시인의 샤스 스플린 (Chasse Spleen)  작품을 읽고  -평론 최용대-


"Chasse Spleen"은 19세기 프랑스 문학이 품은 정서적 권태를 한 병에 담아낸 작품이다. 프랑스어 chasser le spleen은 ‘우울함(spleen)을 쫓다’는 존재의 피로와 권태, 즉 르네상스의 근대적 자아의 무기력을 상징하는 문학적 질병을 향한 예술적 저항이자, 반어적 애도이었던 것으로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대표작 '악의 꽃'(Les Fleurs du Mal)에서 "스플린과 이상(Spleen et Idéal)"이라는 대조적인 구조로 인간 존재의 끊임없이 절망과 이상 사이 실존적 무력감과 정신적 피로와 권태를 응축한 시대적 배경으로 태어나게 된, 일종의 문학적 와인이다. 샤토 샤스 스플린(Château Chasse Spleen)은 와인을 통해 그 무거운 스플린을 ‘쫓아버리겠다’는 의지와 삶의 권태를 이겨내기 위한 예술적 의례, 혹은 감각의 저항으로 쓰여졌다

코르크 마개의 개방은 그동안 갇혀 있던 억압의 발산을 유도한, 첫 잔을 해방의 출구로, 오픈된 세상에서 제 빛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순간 색감의 우울과 이상, 현실과 예술 사이를 가로지르는 문학적 해석의 체험에 동참하게 만드는 것이다. 보르도 와인이 가진 이름이 가진 문학적 함의를 보들레르적 '스플린'의 정서, 곧 우울과 권태, 내면의 균열을 시적으로 잘 끌어내고 있다.


손가락 끝에서 실을 뽑는다 / 붉어서 가느다랗고/로 시작되는 첫 행은 육체적 감각과 심리적 밀도를 위로와 파멸의 관계와 함께 은유의 상징성과 환유를 환기함으로 ‘붉은 실’은 와인의 색조를 연상시키는 동시, 내면의 욕망 혹은 기억의 끈을 암시한다. “끈적한 너를 애무하듯 감는다”는 관능성과 중독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너’는 실체가 없는 추상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어떤 치명적인 정념 혹은 고통의 이면을 불러내는 욕구로 보여진다.

도마뱀 꼬리가 되기로 했던 구멍 난 마음처럼 / 잘라도 또 자라나는 잡초 같다/

너는 맹독성이다/ 이 대목은 감정의 "자가재생성 "즉 끊어낼 수 없는 고통의 되풀이, 감정의 재발생성을 은유하고 있다. ‘너’는 치료될 수 없는 치명적인 중독이기도 하다 ‘스플린'을 쫓고자 하지만 동시에 품게 되는 아이러니, 이 동시성은 완전해질 수 없다 말하고 있다.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얹고 / 무희의 몸짓으로 다가온다 닿을 듯 말 듯/

먼 곳에 있는 구름이 얼음기둥이 된다/ 이는 살로메와 세례 요한, 혹은 에로스와 죽음(thanatos)의 이중성을 통해 ‘너’의 유혹성과 파괴성을 극적으로 부각시켜 구름과 얼음기둥, 이미지 또한 덧없음과 끊임없는 생성과 소멸의 반복을 시적으로 상징했다. 와인의 향이 날아가듯, 기억도, 감정도, 존재도 흩어지고 응결된 결과 일 것이다.

마침내 알았다 너로 인하여 완전해질 수 없다는 것을/우리는 처음부터 흰색이 아니었다는 것을/ 결말부는 불완전함의 본질에 대한 수긍으로써 정화되지 못한 존재의 자각으로 귀결된다. '흰색'은 순수 혹은 처음의 완전성일 수 있지만, 시는 그것이 처음부터 착각이었다고 Chasse Spleen이 제시하는 역설을 쫓으려 하나, 그 자체로의 심연을 향한 시적 잠수에 잠긴 존재와 맞물린 ‘내면의 발효다" 라고 할 수 있겠다. 결국 문학적 질병을 향한 예술적 이중성, 실존의 모순을, 인간 내면의 숙명적 무력감과 위로와 파멸을 정서적으로 암시하며 풍미를 잔 안에 담고 있는 스플린처럼, 향기와 중독성이 가득한 여류시인의 시처럼...  평론 / 최용대









이원희

이원희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17
오픈일자2025-07-22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