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와 그림, 낭송 세박자가 함께 어우러진 콜라보의 감성 해석
수묵산천도 / 글 최용대
水墨山川圖 (수묵산천도)
최용대 (崔 鎔 大)
筆橫江煙雨深 (일필횡강연우심)
단 한 획 붓이 강을 가로지르니, 안개비가 짙어지고
雙峰如夢靜中吟 (쌍봉여몽정중음)
두 봉우리는 꿈처럼 고요한 가운데 시를 읊조리네
誰知畫外心頭月 (수지화외심두월)
누가 알랴, 이 그림 밖 마음속에 뜬 달빛을
幽思滿紙不成音 (유사만지불성음)
그리움 가득 찼건만, 종이 위에 소리가 되지 못하네
지성기 주역 ,철학박사, 강사
【第1章】수묵산천도 앞에서
나는 오늘 한 점의 그림 앞에 앉았다.
먹 하나로 그려진 산과 물,
그리고 그 모든 것의 중심에 놓인 여백.
처음엔 그저 눈으로 보았다.
왼편 아래에는 낮은 언덕이 있고, 거기 나무 몇 그루가 심어져 있다.
그 아래로는 잔잔한 물길이 흘러간다.
오른쪽 위에는 안개처럼 스며든 산봉우리가 하나,
겸손하게 고개를 내밀고 있다.
그런데 이상했다.
내 눈은 자꾸만,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가운데를 향했다.
화면의 정중앙, 흰 종이만 남은 그 자리에
나는 어쩐지 가장 많은 것이 담겨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화가는 왜 거기를 비워두었을까.
혹은, 정말로 비워두기만 했을까.
나는 그 여백 안에서
바람 소리를 들었고,
흘러가는 시간을 느꼈으며,
말없이 서 있는 나 자신을 보았다.
그림이 나를 바라보는 것 같았다.
그림이 질문하는 것 같았다.
“너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수묵화는 말이 없다.
그러나 그 침묵은, 때로 어떤 언어보다 깊다.
나는 비로소 깨달았다.
이 그림이 그리고 있는 것은 산과 물이 아니라,
내 마음의 형상이라는 것을.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비워진 곳에서 오히려 충만함이 태어난다.
그것이 이 그림이 가르쳐준 첫 번째 진리였다.
나는 한참 동안 그림 앞에 앉아 있었다.
그림을 보는 게 아니라,
그림 속 보이지 않는 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이었다.
【第2章】달은 그리지 않았지만 떠 있었다
나는 그림 앞에 오래 머물렀다.
그러다 옆에 놓인 한 편의 시를 보았다.
제목은 「水墨山川圖」.
이 시를 지은 이는 내가 아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나는 이 시를 마치 나의 심정을 대변하듯 받아들였다.
一筆橫江煙雨深
이 첫 줄에서 시인은 그림의 시작을 다시 불러낸다.
화가가 쓱 그은 붓 하나가
시인의 눈에는 강을 만들고,
그 위에 안개비를 내려 앉힌다.
나는 여기서 기(氣)를 느꼈다.
주역에서 말하는 형이하의 세계,
먹의 흐름 속에 생동하는 기운이다.
雙峰如夢靜中吟
이어서 등장하는 두 봉우리.
시인은 그것을 ‘꿈결’ 같다고 했다.
그 정적인 풍경 안에서 시를 읊는다니,
나는 여기에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감응을 느꼈다.
시인의 마음이 산과 하나가 되었기에,
산이 시를 읊는 것인지, 시인이 산을 읊는 것인지 경계가 흐려졌다.
誰知畫外心頭月
이 구절에서 나는 멈췄다.
그림에는 달이 없다.
하지만 시인은 말한다.
그림 밖에, 자신의 마음속에 달이 떠 있다고.
나는 이 대목을 ‘무중생유(無中生有)’의 철학으로 읽었다.
그리지 않았으되 가장 뚜렷하게 존재하는 것.
말하지 않았으되 가장 깊이 울리는 것.
그것이 바로, 진정한 예술이 아닐까.
幽思滿紙不成音
이 마지막 구절에서
나는 시인이 말하고자 했던 모든 것을 느꼈다.
소리로 나오지 못한 깊은 사유,
말로 다하지 못한 여운.
그것은 시의 결핍이 아니라,
시가 도달한 궁극의 경지다.
나는 이 시를 통해
그림 속에서는 볼 수 없었던 또 하나의 산수를 보았다.
눈으로 보던 수묵은, 이제 마음으로 느끼는 수묵이 되었고,
그림을 그리지 않은 시인은,
그림 밖 세계를 보여주는 또 다른 화가가 되었다.
시인은 달을 그리지 않았고,
화가도 달을 그리지 않았다.
하지만 나는 분명히
그림과 시를 함께 바라보는 가운데
내 마음속에 떠 있는 달을 보았다.
그 달빛은
나의 사유 위에 조용히 내려앉아 있었다.
【第3章】허(虛)의 중심에서 도(道)를 보다
나는 그림을 보았고,
그 옆에 놓인 시를 읽었다.
그리고 이제는 그 두 세계를 관통하는 제3의 세계로 들어간다.
이 세계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가장 깊고 넓다.
나는 그것을 형이상학의 차원,
혹은 주역이 말하는 도(道)의 차원이라 부른다.
그림은 형태를 그린 것이 아니다.
시 또한 사물을 묘사한 것이 아니었다.
이 둘은 모두, ‘없는 것을 통해 있는 것을 드러내려는 시도’였다.
그림은 여백을 통해 실재를 보여주었고,
시는 말하지 않음으로써 감정을 들려주었다.
이것은 곧 주역에서 말하는 허중지실(虛中之實)의 원리이다.
『주역』에는 “태극이 움직여 두 기를 낳고(太極動而生兩儀)”라는 말이 있다.
태극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중심이다.
그런데 그것이 움직이면 음양이 생기고,
음양이 사상(四象)을 낳고, 만물이 생겨난다.
그림의 여백, 시의 침묵 —
이 모두는 태극의 상태이며,
그 안에서 형(形)이 생겨나고 감(感)이 움직이는 것이다.
나는 이 수묵산천도를 ‘건괘’와 ‘곤괘’의 상호작용으로 본다.
산은 건(乾), 하늘의 형상이다.
물과 땅은 곤(坤), 수용과 포용의 형상이다.
그림은 건괘의 창조에서 시작하여 곤괘의 수용으로 내려오며,
시는 다시 그 두 괘를 꿰뚫는 중(中)으로 돌아가 심월(心月)이라는 상징을 드러낸다.
이 ‘심월’은 中孚괘의 핵심이다.
澤上有風 — 못 위에 바람이 이는 형상.
겉으로 보이지 않지만, 물 아래의 마음은 감응하고 있다.
신뢰(信), 울림(感), 그리고 마음의 여운.
그것이 바로 이 그림과 시의 본질이며,
나아가 주역 철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나는 이 모든 체험을 통해, 하나의 결론에 이르렀다.
보이지 않음으로써 더욱 선명해지는 세계가 있다.
그림은 비움으로써 채웠고,
시는 침묵으로써 노래했으며,
철학은 그 둘의 중간에서 의미를 낳았다.
그것은 단지 미술이나 문학의 일이 아니다.
삶 또한 마찬가지다.
가득 채우기보다 한 줄 비워 두는 용기,
소리치기보다 조용히 머무는 지혜,
보이지 않는 것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능력.
그 모든 것이, 이 수묵산천과 한 편의 시가
내게 남긴 가르침이었다.
이 시를 낭송한 전미녀님은 며칠전 부군께서 유명을 달리하셨는데, 목소리가 짜랑한걸 들으니 안심이 된다.
한시를 낭송하는 일이란 결코 쉽지 않다. 시에는 전통과 한국 고유의 정서가 서려 있기 때문에 목소리로 해석해 내려면 대단한 내공과 교감이 필요로하다 전미녀 낭송가 또한 깊은 내공으로 수묵산천도의 글, 그림, 낭송, 이 세박자에 마침표를 찍었다.
그리고 그림과 시를 감상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
지성기 道菴 池成基 / 주역가, 철학박사, 강사
성균관 전학 성균관유도회 충북 본부 상임위원
제천향교 장의 성균관유도회 제천지부 총무부장
한국한시협회 제천지부 사무국장
강원대학교 철학박사
성균관 한림원 문집번역 연구과정 재학
동양경전(周易) 강사
이원희
기자
헤드라인 뉴스
-
김건희 “다시 내 남편하고 살 수 있을까” 변호인에게 토로
김건희 “다시 내 남편하고 살 수 있을까” 변호인에게 토로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14일 특검 조사를 받는 도중 휴식 시간에 변호인들에게 “내가 다시 내 남편하고 살 수 있을까, 다시 우리가 만날 수 있을까”라고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김 여사 관련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
-
《인문사회과학칼럼》 사고와 판단의 유연성
사고와 판단의 유연성사람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성향이 있다. 이것을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라고 부르고 이것은 현대의 심리학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사람들의 이러한 인지 편향의 심리를 인지부조화이론의 시각에서 볼 수도 있다. 뇌인지심리학자인 이상아 서울대 교수는 ‘마음의 편향은 강력한 본능
-
[칼럼]속옷 차림의 권력과 거울 앞의 국민
반영얼마 전, 전직 대통령이 법의 손길에 끌려갔다. 수의를 벗은 채 속옷 차림으로 바닥에 드러누워 체포를 거부한 것과, 이어진 강제 수사에서 의자에 매달리다 떨어져 부상을 입는 모습이 전 국민에게 보도됐다. 오늘은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구속됐다. 전직 대통령 부부가 동시에 법정에 선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다. 구치소에서의 신체검사, 카키색 수의, 수용번호,
-
《속보》외신들 "한국 최초 전직 대통령 부부 동시 구속" 속보 타전
외신들 "한국 최초 전직 대통령 부부 동시 구속" 속보 타전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구속된 가운데 외신들도 '한국 최초 전직 대통령 부부 동시 구속'이라며 관련 소식을 속보로 전했다.일본 NHK 방송은 13일 "윤 전 대통령의 아내 김건희 여사가 주가 조작과 관련한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됐다&
-
‘《사설》순국선열’ 빠진 광복 80년
‘순국선열’ 빠진 광복 80년대통령이 해마다 독립운동가 후손들을 위로하기 위해 광복절 전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오찬을 하는데, 올해는 순국선열유족회 회원은 회장을 포함, 모두 참석을 불허하고 애국지사 후손 위주 광복회 인사 등만 초청하기로 했다고 한다. 국가보훈부 장관이 담당 직원을 유족회에 보내 양해를 구했다고 하지만, 유족회 측은 &
-
《사설》한국을 떠난 것, 새로 만들어 갈 것
한국을 떠난 것, 새로 만들어 갈 것한국은 지난 50여 년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세계무역기구(WTO) 체제하에서 세계적 자유무역 환경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은 나라다. 이웃에는 별 제약 없이 우리의 중간재 상품을 바리바리 실어 나를 수 있었던 중국 시장이 있었다. 그러나 TSMC 창업자인 모리스 창이 "이제 자유무역 시대는
-
李,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
李,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오후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포함된 8·15 특별사면안을 의결했다.이 대통령은 취임 뒤 첫 사면권 행사에서 ‘정치인’을 대거 포함시켰다. 이번 특사 명단
-
《사설 》 당은 나락인데 尹과 전한길만 보이는 국민의힘 전당대회
당은 나락인데 尹과 전한길만 보이는 국민의힘 전당대회국민의힘이 22일 새 당대표를 선출한다. 계엄과 탄핵, 대선 패배를 거치며 나락으로 떨어진 당을 추스를 리더십을 선택하는 자리다. 하지만 기대는커녕 실망과 우려가 앞선다. 전국을 돌며 분위기를 띄우는 합동연설회가 8일 시작됐지만 후보들의 비전과 역량은 고사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만 보
-
《사설》'김건희 특검'은 그때 尹에게 기회였다
'김건희 특검'은 그때 尹에게 기회였다윤석열 전 대통령은 귀한 정치 자산을 김건희 특검을 막는 데 소진하고 무너졌다. ‘법과 원칙’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무너진 공정(公正) 회복’ 등은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한 사람들이 기대했던 가치이자 그의 핵심 정치 자산이었다. 이 가
-
《사설》 김여정 "확성기 철거 없다"… 대북 조급증이 부른 민망한 해프닝
김여정 "확성기 철거 없다"… 대북 조급증이 부른 민망한 해프닝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확성기를 철거한 적이 없으며, 의향도 없다"고 14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북측도 일부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밝힌 지 이틀 만에 나온 반응이다. 북한 반응에 성급히
-
인천광역시교육청, '학생 개별관리카드 온라인 서비스' 시범 운영
인천광역시교육청, '학생 개별관리카드 온라인 서비스' 시범 운영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은 늘봄학교 학생 안전관리를 위해 '학생 개별관리카드 온라인 서비스'를 8월 18일부터 56교에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이번 서비스는 앞으로 아동별 늘봄 과정 참여 현황과 귀가 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집·관리해 종이 문서 사용에
-
[PRNewswire] 넥스티어, 2025년 상반기 견조한 실적 발표
[PRNewswire] 넥스티어, 2025년 상반기 견조한 실적 발표-- 중국 OEM•기술 리더십•전략적 확장으로 성장 가속오번힐스, 미시간 2025년 8월 14일 /PRNewswire=연합뉴스/ -- 넥스티어 오토모티브(Nexteer Automotive, HK 1316)는 오늘 2025년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평균을 상회하는 매출
-
《사설》"노란봉투법 멈춰달라" 국회의원 298명에 편지쓴 손경식 회장
"노란봉투법 멈춰달라" 국회의원 298명에 편지쓴 손경식 회장 이재명 정부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통해 '친노동 드라이브'를 본격화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13일 발표한 국정과제에는 5인 미만 사업장 노동관계법 확대 적용,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명문화, 노동시간 단축 등 강도 높은 친노동 정책이 포
-
[칼럼] "초등생에게 인문학을 허하라 " -이원희 기자-
교실은 쉼 없이 굴러가지만, 아이들의 마음은 자주 멈춰 선다. 질문은 속으로 삼켜지고, 외워야 할 정답만이 칠판을 뜨겁게 달군다. 정답을 맞춘 아이는 칭찬받고, 의문을 품는 아이는 뒤처진다. 그렇게 우리는 아이들로부터 '사유의 시간'을 빼앗고 있다.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교육이 먼저 선행되어야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할 수 밖에 없다 과연 교육이란
-
[최용대 평론] 김은경시인의 '몸 예보' 몸의 기상학
시인 풀꽃 김은경몸 예보 / 김은경손등이비의 음절에 젖는다길가에서,창가에서,화단 한 귀퉁이에서대지의 답답함을빗질하듯 씻어내고,꽃의 허리를곧추세운다비를 점치던할미의 묵은 예보가찌부둥한 나의 허리에닿던 순간부터,나는 천기를 누설하기시작했다아~이~고~로 시작돠는순도 백 퍼센트자연 만상의 내림이었다마음 한쪽은여전히쨍쨍한 햇살 속에살고 있음에도...시/ 몸 예보김은
-
《인문칼럼》인문학에서 가을의 낭만 찾아보시라
인문학에서 가을의 낭만 찾아보시라사회적,경제적,어려움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심리적 우울감은 삶의 주도권을 빼앗겼을 때 더욱 증폭된다. 하지만 삶의 주도권과 줄다리기를 해야 하는 상황은 늘 우리 곁에 있어왔다.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문제와 갈등에 부딪히고, 정답을 갈구하며 노력해왔다. 애석하게도 삶에는 정답이 없다. 보고, 듣고, 읽고, 느끼고, 생
-
《인문사회칼럼》 너와 나` 묶어줄 민족주의
너와 나` 묶어줄 민족주의한국사람들의 심성 가운데는 묘한 극단성이 있다. 한번 친해지면 간이라도 내어줄듯이 좋아하다가도 한번 싫어지면 세상없는 원수를 대하듯이 미워한다. 평소에 친하게 지내던 친구도 한번 삐뚤어지면 일평생 섭섭했던 감정을 다 노출시켜서 철저한 원수로 만들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평생의 친구를 쉽게 잃어버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이러한 현상은
-
대구경북작가회의, 제31회 여름문학제 시민과 함께
대구경북작가회의(회장 신기훈)가 주관한 올해 여름문학제는 피폭 80주년을 맞아 원폭문학과 원폭 피해자의 삶을 알아보는 알찬 시간을 가졌다. 지난 1일 대구 중구 동성로 혁신공간 바람 상상홀에서 ‘원폭문학, 새 길을 모색한다’를 주제로 제31회 여름문학제를 시작한데 이어 9일에는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과
-
《사회과학 칼럼》성경의 원본이 발견된다면
성경의 원본이 발견된다면?새로운 한 주를 시작하면 신발 끈을 묶는 아침. 바쁨과 경쟁으로 다급해지는 마음을 성인들과 선현들의 따뜻하고 심오한 깨달음으로 달래본다.세상엔 단 하나뿐인 오리지널이 있다. 루브르 박물관의 모나리자, 대영도서관의 마그나 카르타, 영국 박물관의 로제타 스톤. 정교한 복제품이 떠돌아도, 사람은 늘 ‘진짜’를 보러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