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칼럼》 너와 나` 묶어줄 민족주의

최용대 기자

등록 2025-08-11 22:48


너와 나` 묶어줄 민족주의



한국사람들의 심성 가운데는 묘한 극단성이 있다. 한번 친해지면 간이라도 내어줄듯이 좋아하다가도 한번 싫어지면 세상없는 원수를 대하듯이 미워한다. 평소에 친하게 지내던 친구도 한번 삐뚤어지면 일평생 섭섭했던 감정을 다 노출시켜서 철저한 원수로 만들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평생의 친구를 쉽게 잃어버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현상은 어느 정도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특히 한국민족에게 두드러지게 볼 수 있는 이유는 우리가 불행한 역사를 걸어왔기 때문이다. 한국근대사의 반세기 동안 우리는 여러 형태의 적과 대결해야 하는 경험을 해왔다. 해방 후 우리는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교육을 통해서 공공연히 심어왔고 한국전쟁 이후로는 북한을 우리의 최상의 적으로 삼고 반공(反共)을 국시(國是)로 삼은 적도 있었다.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을 반공과 방일(防日)에서 찾기도 했었다. 북한에 대한 적개심과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우리의 주체성을 정립해 주었다. 식민지 의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었다.


5·16이후 군사정권이 일본과 국교정상화를 시도하였을 때 한국의 대학가와 지성은 분노하면서 거리로 나왔다. 유명한 6·3사태였다. 그 당시 한국의 젊은 세대와 지식층은 우리의 정체성과 민족의 영혼을 일본에 팔아먹는 경제적 식민지가 되는 줄로 알았었다. 지금 돌이켜 보면 1960년대 한국을 위협하는 최대의 적이 일본이었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한국근대화 과정에서 일본의 여과를 거쳐야 하는 역사적 과정을 싫든 좋든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역사적 현실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한편 북한에 대한 적개심이 사라지고 북한 사람들을 만나 보았을 때 그들의 몸이 빨간 색깔도 아니고 그들의 머리에 뿔이 난 것도 아님을 알게 되었다. 물론 우리가 가져 왔던 일본이나 북한에 대한 적개심이 역사적으로 볼 때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 때문에 우리는 불행히도 우리 자신의 입장이나 정체성을 우리의 주관적 의식에서 정립하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적개심, 반감, 그리고 미움과 질타를 통한 상대방을 부정하는 모습 속에서 우리의 모습을 확인해 보려는 시도를 해 왔다.


그러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반공도 사실은 남한 자체내의 문제를 정립하고 정리하는 정치적 수단으로 종종 쓰여져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내적으로 우리는 근 30년에 걸쳐서 정치적 ‘악’인 군사정권과 싸우면서 반체제를 통해서 국민의 ‘의식화’와 ‘지성의 행동화’를 시도해왔었다.


1990년대의 한국은 1997년의 외환위기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안정세력을 구축해왔다. 국내적으로는 군사독재가 무너지고 북한에 대한 적개심도 사라져 갔다. 짧았지만 이 몇년이 한국인에게는 적이 없는 시기였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한국의‘행동하는 지성’에게는 일종의 침체기간이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1997년의 ‘국제통화기금(IMF) 위기’는 우리에게 새로운 적의 탄생을 예고해주고 있었다. 최근 퓨연구소(Pew Research Center)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아시아 나라들 가운데서 미국을 싫어하는 나라로서 한국이 단연 일등으로 나와 있다.


오늘날 한국의 최대의 적이 누군가는 이번 선거를 통해서 보여 주었다.


한국은 이러한 ‘적’이 생길 때마다 그 적에 대한 우리의 극단적인 증오감과 배타성을 발산하기를 주저하지 않았고 이러한 감정을 우리의 주체성으로 동일시 해버리곤 했었다. 그러나 우리가 정립해야 할 진정한 민족주의는 ‘너’를 부정함으로 ‘나’를 찾는 ‘부정적 민족주의’가 아니라 ‘너’와 ‘나’관계를 싸매 줄 수 있는 치유(healing)의 지혜와 ‘얼’을 찾는 사상과 가치를 찾고 창조하는 ‘적극적 민족주의’를 찾아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이재명정부의 시급한 과제는 바로 이 치유다. 내적으로는 분열된 국민의 감정과 국론을 하나로 묶어야 하고 외적으로는 우리의 옛 친구의 상한 감정을 치유하는 아량을 보여야 한다.

최용대

최용대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17
오픈일자2025-07-22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