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초등생에게 인문학을 허하라 " -이원희 기자-

이원희 기자

등록 2025-08-13 16:40

정답보다 사유의 방향을 묻다

수능은 있지만, 삶의 질문지는 없다.


교실은 쉼 없이 굴러가지만, 아이들의 마음은 자주 멈춰 선다. 질문은 속으로 삼켜지고, 외워야 할 정답만이 칠판을 뜨겁게 달군다. 정답을 맞춘 아이는 칭찬받고, 의문을 품는 아이는 뒤처진다. 그렇게 우리는 아이들로부터 '사유의 시간'을 빼앗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교육이 먼저 선행되어야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할 수 밖에 없다 과연 교육이란 무엇이며, 삶을 배운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그 질문의 중심에 ‘인문학’이라는 오래된 길을 다시 떠올려보자..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삶과 존재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그 이해를 통해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게 하는 학문 영역이다. 철학,문학,역사,예술,언어학 등, 사람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는 모든 지적 활동을 포괄하며 인간이 왜 그렇게 살아왔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묻고 사유하는 훈련이며, 생각,감정,가치,의미를 조율하는 작업이다. 다시말해 인문학의 주된 핵심은 질문하는 힘, 상상력과 공감, 비판적 사고, 그리고 인간다운 회복에 있다. 이 네 가지 요소가 어릴 때부터 길러질 때, 아이들은 삶의 의미를 탐구하고, 사회와 자신을  이해하는 옳바른 주체로 성장할 수 있다.


과거에는 '교양'이라는 말로 불리던 것이, 지금은 '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불리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적인 삶의 품격과 사유의 여백을 되찾으려는 열망이 인문학이라는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만약 학교에서 인문학을 정규 교과로 도입하여 가르친다면 어떻게 될까?


어릴 때부터 철학과 문학, 예술과 역사가 접목된 인문학 공부를 통해 삶을 되묻고 질문하는 훈련을 한다면, 아이들의 시야는 좀 더 멀고 깊어질 수 있지 않을까.


청소년 문제가 사회적 의제로 떠오른 지금, 인문학은 아이들의 내면을 지탱할 단단한 기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초등학생에게 인문학으로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지식을 주입만 할 게 아니라 질문하고 상상하고 사유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수능을 향해 무작정 달리게 하기보다, 최소한 인문학 시간만큼은 정답 없는 질문이 허용되고, 사유의 숨통이 트이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한 아이가 집에 돌아와 "왜 나쁜 애들이 더 인기가 많아요" 라고 질문을 한다면 이미 ‘정의’라는 복잡한 윤리적 개념을 자기 언어로 탐색하기 시작한 것이다.


인문학은 인간이라는 존재의 근본을 묻는 공부다.

문학 속 인물과 함께 울고 웃고, 역사 속 인물의 입장에서 고민하며, 철학의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연습. 이 모든 과정은 단 하나의 정답이 아닌, ‘왜’라고 묻는 힘에서 시작된다.


상상력은 오답에서 자라며, 생각의 근육은 질문을 통해 단련된다. 우리는 그들의 사유 근육을 키워주는 어른이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의 교육은 질문하는 아이보다 정답을 빨리 고르는 아이를 키운다. 생각은 아날로그처럼 섬세하고 복합적인데, 교육은 디지털처럼 이분법적인 정답만을 강요한다.               

결국 우리 아이들은 정보에는 민첩하지만, 감정에는 둔감한 존재로 성장한다.


인문학은 속도를 늦추는 공부다. 생각의 깊이와 말의 무게, 그리고 ‘듣는 힘’을 회복하는 시간이다. 고전 속에도 그 가르침은 숨어 있다. 삼국지의 유비는 제갈량을 얻기 위해 세 번 초가집을 찾았다. 거절당했다고 돌아서지 않았고, 기다릴 줄 알았다. 그 겸손과 끈기가 천하를 바꾼 지혜를 만든 것이다.


“유비는 왜 세 번이나 갔을까?” 이 질문 하나만으로도 아이의 마음엔 사유의 불씨가 켜진다. 인문학은 그렇게 질문에서 질문으로 이어지며, 과거와 현재를 잇고, 아이들의 내면을 키운다.


미국의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철학 동화를 읽히고, 학생이 직접 질문을 만들게 한다. 영국은 말하는 법만큼 듣는 법도 가르친다. 정답 없는 교육을 통해 ‘사람다움’을 배우는 첫 교과서가 바로 인문학인 것이다.


기성세대가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은 어쩌면 이 말일지도 모른다.


“지금 네가 하는 생각이 참 소중해.”

그 한마디가, 한 아이를 사유의 세계로 이끌고, 삶의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질문하는 아이는 결코 길을 잃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질문이야말로 진실이 머무는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청소년 문제의 뿌리를 깊이 들여다보고 싶다면, 아이에게 먼저 질문할 기회를 줘야 한다.


정답을 외우는 교육에서 벗어나, 질문하는 교육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육과정에 인문학 교과를 신설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면, 각 교과서에라도 인문학적 사유를 불러오는 단원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아이들에겐 시급한 일이다.

지금 "우리의 교실은 지나치게 가속화되었고, 교육은 사고의 여백조차 허락하지 않은 채 앞질러 간다."


 이원희 기자 



이원희

이원희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17
오픈일자2025-07-22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