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소개 } <술의 둠스데이>문정영 시인

이원희 기자

등록 2025-08-20 06:46

시산맥 문정영 발행인 술의 둠스데이로 드러낸 시의 폭풍

문정영 시산맥 발행인

시전문지 시산맥 발행인으로 오랫동안 한국 현대시의 기반을 지켜온 문정영 시인의 시집 <술의 둠스데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발행인으로서 수많은 시인의 작품을 세상에 내놓던 그가 자신의 내밀한 언어를 독자 앞에 내보이며 다시금 ‘시인’으로 돌아왔다.

문 시인은 "시인의 말"에서 “기후환경, 4차 혁명의 소재가 사랑, 이별의 감성을 만나 말랑말랑해졌고, 슬픔도 때로는 빈 둥지 같은 내 눈동자를 닮아간다”며 “뜨거운 계절에 덜 익은 과일을 내놓는 심정”이라고 밝혔다.

거대한 시대의 의제를 감성의 언어로 환원해낸 것이 이번 작품집의 특징이다.

시집 속 "겨울 나비"는 그 상징성을 잘 보여준다.



겨울 나비

저 가벼운 몸에 우주의 농담이 있다
구겨진 휴지 같은 너는 햇살을 허기로 적는다
절절하게 내려 앉은 꽃의 입구가 붉었다는 기억
시들지 않기 위해 꽃대에서 끌어올린 수액들
저 꽃이 지지 않았으니 너는 다시 봄으로 날 수 있다!
겨울 나기 위해 날개를 말려야 해 농담해
들어올려 본 것 중 가장 가벼운 꽃 그늘 속에
너의 허기가 가라앉아 있다
한때의 환희를 너의 가는 다리가 매달고 있다
꽃의 배곱에서 날개를 접었다 펴는 상상
겨울 폭풍이 시작한다 -전문-




추천글 

  

문정영의 시는 삶의 찰나를 응시하며 쓴 서정적 이야기다. 혼잣말이다. 따뜻한 물음이고 뼈 아픈 실언이다. 그는 기억이나 감정을 날실과 올실 삼아 삶의 비밀을 직조한다. 어디에도 거짓과 허장성세가 없다. 올곧고 정직하다. 「저어, 저어새」 「탄소발자국」 같은 시는 깊은 관조의 시선이 도드라진다. 시집에는 이런 매혹적인수작들이 풀숲에 머리를 처박은 꿩같이 숨어 있어 읽는 기쁨을 선사한다. - 장석주(시인·계간 『시산맥』 주간)

 

 

시집 『술의 둠스테이』는 편편이 사랑이다.

거의 전편이 사랑에 관한 탐구이자 언어적 좌표다.

필연적으로 시는 사랑일까?

“사랑은 지상에서 가장 빛나는 축제”라고 믿는 시인은

마침내 “마지막 사랑을 목숨으로 기다려야겠다”라고 노래한다.

-김이듬(시인·계간 『웹진시산맥』 주간)

 

 

문정영 시인을 오래 곁에서 지켜보며 내가 얻은 단어는 ‘어질다’였다. 여러 사람을 살피고 돌보는 데 주저함이 없는 어진 이, 헤아리고 살피는 사람의 문장은 단단하고 깊고 다정하다. 곧고 순일한 마음은 멀리, 또 깊이 가 닿을 수 있다는 사실을 나는 문정영 시인에게서 배웠다. 어진 이는 저어할 줄 알기에 “따듯한 곳으로 슬픔을 옮기”(「저어, 저어새」)는 법을 우리에게 알려 준다. 시인의 성정을 닮아 편안하고 선선하여서, 곁에 두고 오래 마음을 기대고 싶은 시집이다.

- 이혜미(시인·계간 『시산맥』 편집위원)




혹독한 겨울을 견디는 나비의 날갯짓은 연약해 보이지만, 그 안에 환희와 상실, 생존과 재생의 의지가 응축돼 있다. 문정영발행인은 이를 통해 인간 존재가 마주한 고통과 희망을 동시에 잘 드러냈다.

<술의 둠스데이>는 술이라는 현실적 감각과 ‘둠스데이(심판의 날)’라는 극단적 이미지가 교차하는 자리에서, 개인의 고백과 시대적 질문을 함께 풀어낸다.
문정영 시인은 이번 시집을 “조각칼로 나뉘는 순간마다 길어 올린 언어의 결”이라고 정의한다. 그는 기후위기와 기술문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 시대가 마주한 ‘심판의 징후’를 드러내는 경고이기도 하다. <술의 둠스데이>는 덜 익은 과일처럼 불안정하고 쓰디쓴 맛을 품고 있지만, 바로 그 불완전함 속에서 우리는 지구와 인간 존재의 마지막 질문을 마주한다. 문정영의 시 술의 둠스데이는 우리에게 묻는다.

심판의 날은 아직 오지 않았지만, 우리는 어떤 언어로 그 날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는가.



문정영 발행인은 전남 장흥 출생으로, 건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 월간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 꽃들의 이별법, 두 번째 농담, 술의 둠스데이 등 7권을 출간했으며, 계간 <시산맥>과 <웹진시산맥>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동주문학상, 기후환경문학상, 기후환경어린이백일장을 이끌고 있으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창작기금을 세 차례 수혜받았다.



이원희

이원희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05
오픈일자2025-07-05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