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Newswire] CATL, 유럽 E-모빌리티에 최적화된 Shenxing Pro 솔루션 출시

최용대 기자

등록 2025-09-08 17:51

[PRNewswire] CATL, 유럽 E-모빌리티에 최적화된 Shenxing Pro 솔루션 출시


[PRNewswire] CATL, 유럽 E-모빌리티에 최적화된 Shenxing Pro 솔루션 출시


-- IAA 모빌리티 2025에서 공개


뮌헨 2025년 9월 8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인 CATL이 'CATL 오픈 데이(CATL Open Day)'를 열고 세계 최초로 열폭주 후에도 지속적인 고전압 공급과 전력 유지가 가능하며, 화재나 연기 발생이 없는 리튬인산철(lithium iron phosphate•LFP) 배터리 Shenxing Pro를 공개했다. 유럽의 E-모빌리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된 Shenxing Pro는 안전성, 수명, 주행 거리, 초고속 충전 등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급성장하는 유럽 전기차(EV) 시장에서 최적의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 전기차 시장의 과제 해결


현재 유럽의 전기차 보급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와 마크라인즈(MarkLines)에 따르면 유럽 전기차 보급률은 2025년 상반기 23%에서 26%로 상승했으며, 연말까지 29%에 이를 전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IEA)는 2024년 320만 대였던 유럽 전기차 판매량이 올해에는 400만 대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여전히 전기차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컨설팅회사 맥킨지(McKinsey)가 실시한 '2025 소비자 모빌리티 동향 조사(2025 Consumer Mobility Pulse Survey)'에 따르면 높은 가격, 배터리 수명, 주행 거리 제한, 충전 인프라 부족, 배터리 안전성이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를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됐다. 하지만 Shenxing Pro는 이러한 장벽을 직접 해결하며 유럽의 다양한 주행 환경에 맞춤화된 성능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로 E-모빌리티 혁신


CATL가 독자 개발한 NP 3.0 기술이 적용된 Shenxing Pro는 배터리 분야의 혁신적 도약을 상징한다. 화학 수준, 기계적 구조, 시스템•제어 분야 전반에 개선을 이룬 이 제품은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된다.


Shenxing Pro초장수명•장거리 배터리: 세계 최초의 LFP 배터리로, WLTP 기준 758km의 주행 거리와 기록적인 12년•100만 km 수명을 제공하며, 배터리 수명과 주행 거리 성능을 혁신했다. 20만 km 주행 뒤에도 단 9%만의 성능 저하율을 보여 유럽 리스 시장에 완벽하게 부합된다.


Shenxing Pro초고속 충전 배터리: 단 10분 충전으로 WLTP 기준 478km 주행이 가능하다. 이는 초당 0.8km 주행할 수 있는 충전이 가능한 유럽 최고의 초고속 충전 LFP 배터리라는 뜻이다.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20%에 불과하더라도 830kW 출력을 내며0-100km/h 가속을 단 2.5초 만에 달성해 다양한 조건에서도 짜릿한 성능과 지속적인 신뢰성을 보장한다. 영하 20°C에서도 20분 충전 시 410km 주행 가능할 만큼 극한의 추위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유지한다. 최대 10년•24만km 보증이 적용되어 초고속 충전의 내구성 기준을 새롭게 정의한다.


두 모델 모두 CATL이 독자 개발한 NP 3.0 기술이 적용됐다. 이는 CATL이 7년간 발전시켜 온 NP(No Propagation) 안전 혁신 기술이 정점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한 성능으로 인정받는 NP 3.0은 열폭주 발생 후 1시간 이상 고전압을 지속 공급하고 차량 속도를 유지하여 운전자가 차분하게 차를 위험 구역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주며, 화염과 연기를 일으키지 않는다. Shenxing Pro는 비상시에도 끊김 없는 전원과 시스템의 연속성을 보장함으로써 차량 시스템에 사고 책임을 돌리는 경우가 많은 L3과 L4 자율주행 시대의 높아진 안전과 위험 대응 요구를 충족한다.


Shenxing Pro에는 CATL의 혁신적인 웨이브 셀(Wave cell)이 탑재됐다. 이 셀에는 어깨 부분이 돌출된 설계와 공간 공유 기술이 적용됐다. 이는 냉각 시스템과 고정 장치를 기존처럼 제한된 방향이 아닌 모든 방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배터리다. 전방향 진동 억제를 달성하여 배터리 팩 강성을 25% 향상시키고 내구성도 두 배로 높였다. Shenxing Pro는 새로운 셀 설계로 기존 CTB(Cell-to-Body)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76%라는 놀라운 팩 부피 효율을 달성했다. 이러한 혁신을 결합한 Shenxing Pro는 전례 없는 안전성, 확장된 주행 거리, 탁월한 수명, 초고속 충전 성능을 통해 유럽 E-모빌리티를 재정의할 것이다.


CATL 국제사업부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주링보(Lingbo Zhu) 박사는 "Shenxing Pro는 세계적 수준의 안전 기준과 모빌리티 요구를 완벽히 융합해 모든 여정에 더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걱정 없는 경험을 선사한다"며 "이 제품은 타협 없는 주행 거리, 충전 속도, 내구성을 갖춘 유럽 전기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라고 강조했다.


유럽 E-모빌리티 생태계 강화 기대


CATL 단순히 '유럽으로(to Europe)' 배터리를 수출하는 단계를 벗어나 '유럽에서, 유럽을 위한(in Europe, for Europe)' 배터리를 생산하는 단계로 진화하면서 유럽 시장에서 입지를 꾸준히 넓혀왔다. 유럽 사업에 110억 유로 이상을 투자했고, 여러 대학과 직업 교육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현지 인재를 양성해 왔다.


CATL은 오랫동안 관계를 이어온 유럽 파트너사를 포함해 전 세계 200여 개 자동차 제조사 및 1000여 개 유럽 공급업체와 협력해 최첨단 배터리 기술을 전기차에 통합함으로써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탄리빈(Tan Libin) CATL 글로벌 비즈니스 최고영업책임자(CCO) 겸 수석 부사장은 "CATL은 최첨단 기술, 다양한 글로벌 사업 운영 경험, 검증된 제조 전문성, 개방적 협력 마인드를 바탕으로 유럽 자동차 산업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우리의 첨단 역량과 수십 년간 자동차 분야에서 축적된 유럽의 전문성을 결합하여 '유럽에서, 유럽을 위한' 단계를 뛰어넘어 궁극적으로는 '유럽의(of Europe)' 기업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CATL은 이를 통해 소재 생산, 배터리 제조, 재제조 및 재활용에 이르는 더 친환경적이면서 스마트하는 번창하는 EV 생태계를 구축해 유럽 지역의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를 위한 비전 공유


CATL은 Shenxing Pro 출시를 통해 유럽의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미래에 대한 오랜 약속을 재확인했다. CATL은 전 세계 300억km 이상 주행한 2000만 대 이상의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한 글로벌 전문성을 바탕으로 안전성, 성능, 지속 가능성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CATL은 유럽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함으로써 지역 자동차 파트너들과 협력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전기화를 제공하기 위해 미래형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출처: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CATL)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


최용대

최용대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05
오픈일자2025-07-05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