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Newswire] 레드씨 글로벌,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섬 골프장 슈라 링크스 개장
브라이언 컬리의 설계로 환경친화적 게임과 이 지역만의 운치 있는 해안이 독특하게 어우러지는 세계 유일의 골프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10월 1일 /PRNewswire=연합뉴스/ -- 재생형 관광 명소인 더 레드씨(The Red Sea)와 아마알라(AMAALA) 개발사 레드씨 글로벌(Red Sea Global, RSG)이 슈라 아일랜드(Shura Island)에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섬 골프장인 슈라 링크스(Shura Links)를 공식 개장했다.
유명 골프장 건축가 브라이언 컬리(Brian Curley)가 설계하고 골프 사우디(Golf Saudi)가 관리하는 총거리 약 6800미터의 72파 코스로 섬의 자연 지형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은 독특한 해안 골프장이다. 18개의 홀을 조망하자면 자연적으로 조성된 맹그로브 숲과 광활한 모래 언덕을 지나 전형적인 해안 골프장답게 더 레드씨 해안선을 따라 18개의 홀이 펼쳐져 있다. 이 골프장은 이곳 재생형 관광지의 진가를 살리고자 환경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스포츠와 관광 분야에서 세계 선두로 올라서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입장에서 봤을 때 슈라 링크스 개장은 획기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슈라 링크스는 야심 찬 사우디 비전 2030(Saudi Vision 2030)의 일환이자, 경제를 다각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려는 PIF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물이다. 더 레드씨의 심장부에 있는 슈라 링크스는 세계적인 골프장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슈라 링크스는 특별한 여행지가 어떻게 투자, 호화 관광,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성 실현 기회의 원동력으로 변모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라고 골프 사우디 회장 야시르 알 루마얀(Yasir Al-Rumayyan)은 평가했다.
해변 클럽하우스를 중심으로 한 사교의 장
골퍼와 방문객의 이목을 끄는 활기 넘치는 공간인 해변 클럽하우스는 슈라 링크스에서 사교 활동의 중심지 구실을 한다. 현지 동식물에서 착안해 지어진 클럽하우스는 18번 홀의 탁 트인 전망이 한눈에 들어오며,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설계된 고급 레스토랑, 쇼핑 공간, 휴식 공간까지 갖추고 있다.
"슈라 링크스는 이 지역 골프계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단순한 골프장이 아니라, 타인과 교분을 쌓고, 도전 정신을 불태우며, 더 레드씨의 아름다움을 온전히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슈라 링크스는 지속가능성과 설계를 통해 세계 관광의 판도를 바꾸려는 레드씨 글로벌이 이룩한 또 하나의 자랑스러운 업적이다. 또한 슈라 링크스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세계 최고의 스포츠 여행지로 만들겠다는 비전 2030의 목표와 완벽하게 부합하는 레드씨 글로벌의 다양한 스포츠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거둔 의미심장한 진전이라 할 수 있다"라고 레드씨 글로벌 그룹 CEO 존 파가노(John Pagano)는 강조했다.
품격 있는 골프 체험
주요 특징:
- 연령이나 실력과 관계없이 온 가족이 즐기기에 적합한 클럽하우스 바로 옆의 어드밴처 퍼팅 코스
- 프로 투어에 사용되는 고급 캘러웨이 연습구
- 엄선된 유명 브랜드, 액세서리, 슈라 링크스 상품을 판매하는 골프용품 전문점
- 테라스나 수영장 옆 실내 공간에서 특별한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고급 클럽하우스
- 넓은 잔디 연습장과 퍼팅 그린, 그리고 전체가 잔디로 조성된 미니 게임 구역
- 9홀 및 18홀 라운드 게임에 적용되는 맞춤형 골프장 이용료
- PGA 자격증을 갖춘 현장 전문가가 진행하는 개인, 가족, 단체 강좌 등의 전문 골프 교습
컬리-와그너 골프 디자인(Curley-Wagner Golf Design)의 대표 브라이언 컬리도 의견을 밝혔다. "애초에 슈라 링크스는 눈부시게 빛나는 하얀 모래 언덕이 펼쳐진 자연환경과 완벽하게 어우러지도록 설계되었기에 특별한 골프 경험을 선사한다. 이 골프장은 정식 대회용 골프 코스에 들어선 노련한 프로 골퍼를 고난에 빠뜨리도록 설계되었지만, 골프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를 배려해 공을 잃어버릴 염려가 적은 코스도 따로 마련되어 있다. 슈라 링크스가 개장하면 전 세계 골퍼가 슈라 링크스만의 독특한 매력과 세계 정상급 골프 코스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레드씨의 랜드마크
더 레드씨의 심장부인 슈라 아일랜드에 자리하고 있는 슈라 링크스는 몇 주 내로 개장할 예정이다. 1단계 개장에는 SLS 호텔, 에디션(EDITION) 호텔, 인터컨티넨탈(InterContinental) 호텔이 동참한다. 슈라 아일랜드에는 세계적 수준의 리조트 11개가 들어서 향후 몇 달 안에 모조리 개장할 예정이다. 파에나(Faena), 페어몬트(Fairmont), 포시즌스(Four Seasons), 그랜드 하얏트(Grand Hyatt), 주메이라(Jumeirah), 미라발(Miraval), 래플스(Raffles), 로즈우드(Rosewood)가 이에 해당한다.
슈라 아일랜드에는 리조트뿐만 아니라 고급 주택도 많이 들어서 있다. 이 섬에서 구매할 수 있는 첫 번째 부동산이 이미 올해 초에 발표되었으며, 2025년 말 인도될 예정이다. 거주자는 섬의 깨끗한 해변과 푸른 바닷물, 그리고 모든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넓은 여행지와 대표적인 리조트까지도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2억 5천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사방의 주변 지역까지 항공기로 3시간이면 도착할 수 있고, 항공기로 8시간이면 전 세계 인구의 85%를 만날 수 있는 곳에 자리한 홍해국제공항(RSI)은 관광 명소인 더 레드씨의 관문이다. 이미 정기적인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이 운항하고 있으며, 최근 카타르항공(Qatar Airways)은 다음 달부터 RSI 직항편을 주 3회 운항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추가 증편 계획도 곧 발표될 예정이다.
리조트가 완공되면 이 섬은 방문객들에게 때 묻지 않은 자연 경관, 고급스러운 편의시설, 고급 식음료와 소매점, 이곳만의 정체성을 녹인 독특한 체험, 그리고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최고의 경험을 선사하여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관광지의 심장부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골프 사우디 CEO 노아 알리레자(Noah Alireza)는 비장하게 소감을 밝혔다. "골프 사우디는 레드씨 글로벌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를 천연의 아름다움,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성이 어우러진 최고의 여행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통합 투자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입증하고자 한다. 슈라 링크스는 단순히 아름다운 골프장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골프 관광 산업 자체를 전성기로 이끌겠다는 정부의 야심 찬 계획을 실현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요컨대, 슈라 링크스는 국제 방문객이 세계 관광의 중심지로 성장 중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위상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시발점으로 작용할 것이다. 슈라 링크스는 전 세계 골프 애호가, 투자자, 그리고 의사 결정권자들의 영감을 자극할 것이다."
레드씨 글로벌 소개
레드씨 글로벌(RSG - www.redseaglobal.com [https://www.redseaglobal.com/])은 관광, 주거, 체험, 인프라, 교통,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수직 통합형 부동산 개발업체이다. 여기에는 2023년부터 손님을 맞이하기 시작한 고급 재생형 관광지인 더 레드씨와 2025년에 개장할 준비를 순조롭게 진행 중인 아마알라가 포함된다.
세 번째 명소인 투왈 프라이빗 리트릿(Thuwal Private Retreat)은 2024년에 개장했다. 또한 RSG는 알와즈(Al Wajh) 공항 개보수 공사를 위탁받아 기존 터미널과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고 국제선 터미널을 신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PIF의 계열사인 RSG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 중인 경제 다각화 목표의 핵심 축이다. RSG는 여행지 포트폴리오, 자회사, 그리고 사업의 성장에 매진하면서 세계를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로 이끄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책임감 있는 개발이 어떻게 지역 사회 발전, 경제 성장, 그리고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동영상: [https://mma.prnasia.com/media2/2785862/Shura_Inauguration.mp4]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85852/Shura_Golf_Course.jpg]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85853/Shura_Clubhouse.jpg]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85854/Shura_Sunset.jpg]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85855/RSG_CEO.jpg]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785857/RSG_Logo.jpg]
출처: Red Sea Global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
최용대
기자
헤드라인 뉴스
-
《인문정치》 좋은 국회의원
좋은 국회의원 세상엔 이름 때문에 생기는 오해가 적지 않다. 그중의 하나가 대통령제다. 대통령이 국정의 중심에 서는 제도가 대통령제이긴 하다. 하지만 대통령이 이끄는 행정부와 입법부 간의 관계에서 입법부가 논리적으로 우위에 서는 게 대통령제다. 미국의 대통령이 의회를 압도하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다. 미국의 대통령은 여소야대가 아니더라도 의회의 동의를
-
계간 문학평론 4집 가을호 출판기념 심포지엄 현장 스케치
2025년 9월 27일 가을의 문턱에서 계간 문학평론 4집 가을호 출판기념 심포지엄을 대전 유성 경하온천호텔 무궁화홀에서 성대한 막을 올렸다.이날 행사는 홍성주 상임고문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문학계 주요 인사와 수상자, 독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풍성한 문학 축제를 만들었다. 행사의 시작은 묵념과 애국가 제창으로 엄숙하게 열렸고, 이어진 “사랑을 위해
-
《역사인문칼럼》 조선인 여공의 붉은 댕기
조선인 여공의 붉은 댕기 낮에는 뙤약볕 아래서 밭매고 밤에는 희미한 등불 밑에서 실 잣고 베를 짠다. 노래를 부르며. 박경리의 <토지>와 권정생의 <한티재 하늘> 같은 문학 작품에 그려진, 한 세기도 전 이 땅의 여성이 일했던 모습이다. 차별받고 핍박당한 삶이었지만, 여성의 생명력은 많은 외침과 재난, 학정 속에서도 조선 팔도강산 골골을 지탱한 힘이었다.
-
《인문윤리》 패륜범죄와 세종
패륜범죄와 세종. 조선의 형벌제도는 동시대 다른 국가에 비해 관대한 편이었다. 가장 무거운 형벌인 참형도 만물이 생동하는 춘분부터 추분 동안은 형을 집행하지 않고 법으로 유예했다. 강상대역(綱常大逆·부자, 상하 등의 윤리를 어지럽히거나 왕권을 범하는 행위)의 중대 범죄는 예외였다. 이 경우 법에 구애받지 않고 바로 처벌했다. 이를 부대시참(不待時斬)이라
-
《사회칼럼》 학대의 굴레
학대의 굴레 한국의 양육문화에는 체벌이 드물지 않았다. 이러한 문화가 지배하는 가정에서 자란 성인들은 대부분 어릴 때 부모에게 이런저런 이유로 맞은 기억을 갖고 있다. 흔히 ‘사랑의 매’라고 표현했던, 체벌을 동원한 자녀교육도 시대가 바뀌면서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긴 하다. 하지만 세대를 거쳐 대물림되는 문화현상의 흔적을 그리 쉽게 지울 수는 없다. 당시의
-
《사회칼럼》 선물과 뇌물
선물과 뇌물 추석을 앞두고 여기저기서 선물 상자들이 오가는 모양이다. 가뜩이나 밀리는 퇴근길이 요 며칠 사이에 더욱 혼잡을 빚는 것도 백화점이나 쇼핑센터의 선물 꾸러미 배달이 겹친 때문이라고 한다. 선물 대신 전달하기 위해 상품권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그러다 보니 혹시나 자신에게도 선물이 들어오지나 않을까 은근히 기다려지는 게 명절을
-
《인문사회칼럼》 실천적 인문교육이 필요하다
실천적 인문교육이 필요하다 인문학도의 한 사람으로서, “인문과학을 포함한 기초 과학의 교육을 대학교육의 핵심이 되도록 해야 하며, 인문과학은, 인식과 윤리에 있어서 보편적 원리를 배우고 그것을 몸의 습관으로 지니게 하는 데에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학문이다”라는 김우창 교수님의 말씀은 참으로 공감이 가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실제적 조치에
-
《인문문학칼럼》 時代의 문학
時代의 문학 1930년대 궁핍했던 식민지 현실 위로해준 소냐·카추샤 이른바 저항과 투쟁의 1980년대엔 고리키의 ‘어머니’ 열풍 우리의 시대는 무엇을 읽는가, 문학은 오늘도 유효한가 시대가 읽는 문학이 있다. 20세기 초 한국을 휩쓴 러시아 문학 붐은 일본에서 건너왔지만, ‘남의 얘기 같지 않다’는 동질감은 제국보다 식민지 현실에서 더 큰 반향을
-
《사회칼럼》회한과 그리움
회한과 그리움 글을 쓰다 보면 한 줄도 직진하지 못하고 머릿속이 뿌예지는 날이 있다. 그럴 때는 음악을 듣는다. 옛 노래도 종종 듣는 편인데 최근에는 정훈희와 송창식이 함께 부른 ‘안개’를 자주 들었다. 옛날 음악을 듣기 위해 유튜브에서 ‘박인희와 함께’, ‘이종환의 밤의 디스크쇼’ 같은 추억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찾았다. 음악도 좋았지만 더 흥미로운 건
-
《사설》 국회의장 권한까지 넘으려 한 '추미애 법사위'의 안하무인
국회의장 권한까지 넘으려 한 '추미애 법사위'의 안하무인 2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를 진행하는 추미애 법사위원장.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국회에서의 증언·감정에 관한 법률(증감법) 개정안 국회 처리 과정을 보면, 강성 지지층을 의식한 선명성 경쟁이 점입가경이다. 민주당은 추미애 법제사법위원장에게 우원식 국회의장보다 더 센 권한을 부여하는 개정안을
-
《인문사회과학》 망가져가는 뇌
망가져가는 뇌 2006년에 공개된 영화 <이디오크러시>는 인간의 지능이 극단적으로 퇴화하는 미래를 풍자했다. ‘바보’(idiot)에다 ‘민주주의’(democracy)를 합친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바보들이 통치하는 세상을 그린다. 지적 능력이 떨어진 사람들은 거짓과 혐오 발언을 쏟아내고, 사회적 책임과 인권은 안중에도 없다. 주인공 조 바우어는 타임머신을
-
삶이 바뀌면, 차도 바뀌어야 한다. 판매 후에도 함께하는 고객 솔루션 중고차 시장의 새 패러다임-천마상사 (란딴뚠)안상준 대표
대부분의 중고차 시장은 이렇게 작동한다. 차가 입고되고, 판매되고, 보증 기간이 끝나면 관계도 끝난다. '처분하듯' 서둘러 정리를 끝내는 구조는 ‘상품’에만 집중한다. 차를 사는 순간, 고객의 삶은 시장에서 지워진다. 여기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신뢰의 경제학이다. 한 번의 거래로 끝나는 시장은 단기적 이익은 취하고 나머지는 고객의 몫으로 남는
-
《사설》 죽어야 끝나는 교제폭력
죽어야 끝나는 교제폭력 “그렇게 입지 마” “○○ 만나지 마” 교제폭력의 시작은 ‘강압적 통제’라고 한다. 2007년 에번 스타크 미국 럿거스대학 교수가 처음 사용한 ‘강압적 통제’는 “상대방 일상에 대한 간섭과 규제, 비난하기, 가족·지인 등에게서 고립시키는 등의 가해 행위”를 전반적으로 일컫는다. 처음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통제 욕구는
-
《사설》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정치판...여야는 각성해야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정치판...여야는 각성해야 제도권 정치가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현상이 위험 수위를 넘었다. 극단적 친여·친야 성향 유튜브 채널들은 적대와 혐오의 정치를 조장해 수익을 내고, 정치권은 지지층을 손쉽게 결집하는 데 유튜브 팬덤을 활용하는 구조다. 정당들이 의제 설정과 이슈 생산 기능을 유튜브에 의존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조희대
-
[사회 칼럼] 인재 유출의 그림자 미국, 제 발등에 총을 쐈다
미국이 H-1B 비자 수수료를 1인당 10만 달러로 대폭 인상하겠다고 선언했다. 빅테크 기업들은 황급히 직원들에게 ‘미국을 떠나지 말라’는 내부 공지를 내걸었고, 글로벌 기술 인재들은 혼란과 불안을 감추지 못한다. 이 장면은 아이러니하다. 미국의 힘은 결코 국경 안에서만 길러진 게 아니지 않는가 오히려 세계의 수많은 재능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며 구축한 기술
-
《사설》극단주의 민주주의
국단주의 민주주의. 극단주의. 민주주의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이 단어는 최근 세계 정치의 화두다. 진보와 보수는 견제를 넘어 극한의 갈등으로 치닫고 극성 지지자들은 선을 넘어 무력을 행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리고 극단주의가 꽃피우는 곳은 민주주의의 출발지이자 종착지인 국회다. 거리에서 소수로 존재하던 극단주의자들이 힘을 갖는 것은 국회 권력과
-
《사설》 '인내
'인내'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명대사로 알려진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뜰 거야!”는 원문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를 창의적으로 의역한 초월 번역의 걸작 사례로 꼽힌다. 이 문장은 일본에서는 “내일은 내일의 바람이 불 거야!”로 번역된 바 있다. 일본어에는 ‘바람에 맡기다’는 표현이 있다. 돛단배가
-
《사설》 태극기에 담긴 성리학의 우주 생성 이론
태극기에 담긴 성리학의 우주 생성 이론 태극기(太極旗) 속의 태극 문양은 유가 경전에 제시된 전일적(全一的)인 우주 생성의 원리를 상징한다. 중국 송대(宋代) 성리학의 발흥 과정에서 정립된 태극의 우주 생성론이 조선 유학사 500여 년의 과정을 거쳐 19세기 말엽 조선의 국기 제정에 직접적 영향을 끼쳤다. 주지하듯 1882년
-
[칼럼] 한국과 베트남 -공석진-
최근 베트남 다낭(Da Nang)에서 한 달 살기를 마치고 돌아온 한 지인이 우스갯소리로 다낭市를 '경기도 다낭시'라고 말해서 문득 그곳이 연상이 되어 피식 웃음이 니왔었다. 이 말은 베트남 다낭이 한국인 관광객이 매우 많아 마치 경기도의 한 도시처럼 여겨진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별칭이다. 그만큼 우리나라와 베트남은 그 어느 나라보다 친밀한 관계가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