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Newswire] 마이클 샌델, 100만 달러 상금 걸린 베르그룬 철학•문화상 수상
-- 세계적으로 저명한 철학자, 대중적 담론을 고양시키고 우리 시대의 윤리적•시민적 문제 조명
로스앤젤레스 2025년 10월 14일 /PRNewswire=연합뉴스/ -- 베르그룬 연구소(The Berggruen Institute)가 14일 정치 철학자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을 '2025년 베르그룬 철학•문화상(Berggruen Prize for Philosophy & Culture)'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세계적인 사상가이자 공공 지식인인 샌델은 오늘날 정의, 윤리, 시장, 민주주의에 대한 우리의 사고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상은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인간의 자기 이해와 발전에 영향을 준 사상가에게 매년 수여되며, 상금은 100만 달러다.
유크 후이(Yuk Hui) 베르그룬상 심사위원장은 "샌델 교수의 업적은 전 세계 지식계에 중요한 자취를 남겼다"면서 "신자유주의, 능력주의 이념, 포퓰리즘에 대한 그의 비판은 우리 시대의 가장 시급한 질문에 답한다"고 말했다. 심사위원으로는 로저 에임스(Roger Ames), 안토니오 다마시오(Antonio Damasio), 프랜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 시리 허스트베트(Siri Hustvedt),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 엘리프 샤파크(Elif Shafak) 등이 참여했다.
브랜다이스 대학을 졸업한 샌델 교수는 1981년 옥스퍼드 대학 베일리얼 칼리지에서 철학자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지도 아래 로즈 장학생(Rhodes Scholar)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수십 년간 하버드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앤 T. & 로버트 M. 정부학 석좌교수(Anne T. and Robert M. Professor of Government)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정의(Justice)'를 주제로 한 그의 강좌는 최초로 온라인과 텔레비전에서 무료 공개되어 4000만 명의 시청자를 모았다.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2009)와 '공정하다는 착각(The Tyranny of Merit, 2020)' 및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와의 공저 '기울어진 평등(Equality: What It Means and Why It Matters, 2025)' 등 그의 저서들은 널리 번역되어 찬사를 받았다.
니콜라스 베르그룬(Nicolas Berggruen) 베르그룬 연구소 회장 겸 설립자는 "마이클 샌델의 탁월한 업적은 최고 수준의 지적 사고와 글로벌 영향력을 인정하는 연구소의 평생 공로상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면서 "변화하는 세상에서 그가 제시하는 '좋은 인간이 된다는 것'의 의미와 공공 담론에 윤리와 이성을 불어넣으려는 그의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샌델은 철학, 사회과학, 경제학, 인권, 물리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후보자 수백 명 중에서 수상자로 선정됐다, 그는 이제 패트리샤 힐 콜린스(Patricia Hill Collins, 2023), 가라타니 고진(Kojin Karatani, 2022), 피터 싱어(Peter Singer, 2021), 폴 파머(Paul Farmer, 2020),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uth Bader Ginsburg, 2019), 마사 C.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 2018), 오노라 오닐(Onora O'Neill, 2017),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 2016) 등 저명한 수상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다. 샌델 교수는 2026년 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수상할 예정이다.
미디어 문의:
보내기/받기
[office@sendreceive.eu]
+49 30 97996370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93229/Berggruen_Institute_Prof_Michael_Sandel.jpg]?p=medium600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793228/Berggruen_Institute_logo.jpg]?p=medium600
출처: Berggruen Institute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
최용대
기자
헤드라인 뉴스
-
《인문교육》 인성교육 중요한것은 롤 모델이다
인성교육 중요한것은 롤 모델이다 인성교육진흥법이 발효됐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 연구는 인성교육의 목표가 되는 덕목으로 ‘예의, 정의, 책임, 자기존중, 시민성, 배려·소통, 정직·용기, 지혜, 자기조절, 성실’을 제시했다. 뒤늦게나마 인성교육에 관심을 갖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나라의 18세 이하 인구는 현재 전 인구의 20% 정도이지만, 이들은
-
《정치칼럼》 마음으로 필사하는 사회계약
마음으로 필사하는 사회계약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활동한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당시 서구 사회의 변화에 ‘탈신비화’라는 이름을 붙였다. 주술과 마법의 힘에 의존하고, 인간의 이해를 넘는 신비한 영역을 인정하던 시대를 지나, 무엇이든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합리적·과학적 신념이 퍼져나가던 시대의 흐름을 포착한 말이었다. 그가
-
《한글날칼럼》 문해력
문해력 한글날마다 ‘요즘 아이들’의 우리말 실력이 문제라는 성토가 이어진다. ‘혼숙’, ‘두발’, ‘시발점’, ‘우천시’…. 자극적인 사례들을 거론하며 문해력 저하를 질타하는 글들이 올해도 지면을 채웠다. 기초학력 미달을 우려하고 독서 교육 강화를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한자 교육이 부실해서 그렇다는 지적도 다시 제기되었다. 우리말 어휘의 상당
-
《인문사회칼럼》 놀 권리
놀 권리 “하루를 잘 논 아이는 짜증을 모르고, 10년을 잘 논 아이는 마음이 건강하다. 음식을 고루 먹어야 건강하게 자라듯이 ‘놀이밥’도 꼬박꼬박 먹어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편해문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 중) 아이들에게 놀이는 삶 자체다. 놀지 못하면 병든다는 것을 아이들의 몸과 마음이 먼저 안다. 이렇게 중요한 아이들의 ‘놀 권리’는
-
[신간 도서] 가을에 읽기 좋은 책 /최용대의 실용인문학 1집 / 갈대숲이 들려주는 말-인문학편-
🌱 갈대숲이 들려주는 말 사람이 살아가는 세계엔 숱한 이야기가 쌓여 있다. 어떤 사람은 현무암처럼 숭숭 뚫린 이야기를, 어떤 사람은 몽돌을 훑는 물소리 같은 이야기를 걸어왔다. 이야기의 심지는 사람이다. 호롱불의 심지를 들어 올리며 가릉가릉 불꽃을 밝히듯 사람의 이야기는 또 다른 사람에게 건너가 그의 심지가 된다. 사람이 아름다운 것은 아무도 모르는
-
《인문정치》 팔도 고향론
팔도 고향론 가장 가까이서 자란 대통령 부부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권양숙 여사이다. 마산(옛 창원군)에서 태어난 권 여사는 김해 봉하마을의 노 전 대통령 뒷집으로 이사와 초등학교를 함께 다녔다. 그다음으론 최규하(원주)와 홍기(충주), 김영삼(거제)과 손명순(김해), 노태우(대구)와 김옥숙(청송), 박정희(구미)와 육영수(옥천)의 순서가 될 것이다.
-
《인문 문학칼럼》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언어의 연금술사’인 시인들이 그러하듯이 김수영은 언어에 민감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시어에 대한 자의식이 깊었다. 그는 산문 ‘시작 노우트’에 “나는 언어에 밀착했다. 언어와 나 사이에는 한 치의 틈사리도 없다”고 적었다. 또 “인간 사회의 진정한 새로운 지식이 담겨 있는 언어를 발굴하는 임무를 문학하는 사람들이 이행하지 못하는
-
《정치칼럼》 대통령의 한가위 정치학
대통령의 한가위 정치학 한가위 보름달은 공평하다. 동강 난 반도의 남과 북, 부자 동네와 가난한 마을을 차별하지 않고 고루 비춰준다. 그러나 둥근 달을 바라보는 마음은 놓인 처지에 따라 천 갈래 만 갈래다. 어려운 사람은 초승달에서 상현(上弦)달을 거쳐 보름달로 커가는 달의 변화에 희망과 기대를 싣는다. 한껏 오늘을 누리는 사람들은
-
《한가위 칼럼》 만날 수 있어 감사한 추석…
만날 수 있어 감사한 추석… “토란국에 솔잎떡을 새로 차려(芋羹松餠○初新)/마루 위에서 은근히 모친을 위로하네(堂上慇懃慰母親)/자매와 형제가 한 사람 적다고 탄식하니(姊妹弟兄歎少一)/올해 추석은 가장 마음이 아프네(今年秋夕最傷神)”(‘하재일기·荷齋日記’에서) 궁과 관청에 그릇을 납품했던 중인 출신 지규식은 1900년 추석을 엿새 앞두고 수구(水龜)라는
-
《경제사설》
미국 경제동향 이번 주, 미국 금융 시장은 두 가지 시험을 맞이할 것입니다. 한편으로, 대형 은행들의 실적 발표가 투자자들에게 경제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입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경제 데이터 발표 지연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더 키울 가능성이 있으며, 국제 무역 상황에 대한 우려도 다시 고조되고 있습니다. S&P
-
《사설》 정치 저질화 넘어 소멸시키는 법사위
정치 저질화 넘어 소멸시키는 법사위 요즘만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주목받는 때는 없었던 것 같다. 법사위는 국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임위 중 하나다. 본회의에 오르기 전 모든 법안의 문지기 역할을 하며, 특정 법안이 기존 법체계와 충돌하거나 자구상 문제가 없는지를 검토하는 체계·자구 심사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막중한 역할 때문에,
-
《사설》 고단한 일상이지만... 한가위 입니다
고단한 일상이지만... 한가위 입니다 추석 연휴가 시작됐습니다. 개천절부터 한글날까지 7일 동안 이어지는 연휴입니다. 직장인은 10일에 연차를 내면 최장 열흘 연속 쉴 수 있습니다. ‘황금 연휴’라고 부를 만합니다. 하지만 정작 명절 기분이 나지 않는다는 분이 많습니다. 사실 기분 좋은 소식이 별로 없습니다. 연초부터 내수 경기가 얼어붙은 가운데 미국의
-
[문화칼럼] 싸가지 없는 사회를 넘어서
요즘 공적 영역에서 가장 자주 들리는 말 가운데 하나가 “싸가지 없다”는 말일 것이다. 최근 연예인의 무심한 한 마디, 정치인의 경솔한 언동이 사회적 파문을 일으킨 장면을 우리는 여러 차례 목격했다. 정치와 무관한 지역 축제, 특히 어린이들이 있는 자리에서 원색적인 욕설이 등장하고 객석 사이에서 발언은 여론의 준엄한 심판을 불러왔다. 한순간의 경솔함이
-
《인문칼럼》 조상 음덕 오래 기억하는 나무.
조상 음덕 오래 기억하는 나무. 추석 차례상을 비롯한 모든 제사상에는 반드시 밤을 올려야 한다. 이유가 있다. 밤나무의 씨앗인 밤을 땅에 심으면 새싹을 돋운 뒤에 껍질이 썩지 않고 줄기에 남아 있다. 심지어 백년 동안이나 남아 있다고까지 하지만 이는 과장이고, 실제로 3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옛사람들은 이 같은 밤의 특징을 보고 자신을
-
《사설》 국회의장 권한까지 넘으려 한 '추미애 법사위'의 안하무인
국회의장 권한까지 넘으려 한 '추미애 법사위'의 안하무인 2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를 진행하는 추미애 법사위원장.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국회에서의 증언·감정에 관한 법률(증감법) 개정안 국회 처리 과정을 보면, 강성 지지층을 의식한 선명성 경쟁이 점입가경이다. 민주당은 추미애 법제사법위원장에게 우원식 국회의장보다 더 센 권한을 부여하는 개정안을
-
《인문사회과학》 망가져가는 뇌
망가져가는 뇌 2006년에 공개된 영화 <이디오크러시>는 인간의 지능이 극단적으로 퇴화하는 미래를 풍자했다. ‘바보’(idiot)에다 ‘민주주의’(democracy)를 합친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바보들이 통치하는 세상을 그린다. 지적 능력이 떨어진 사람들은 거짓과 혐오 발언을 쏟아내고, 사회적 책임과 인권은 안중에도 없다. 주인공 조 바우어는 타임머신을
-
삶이 바뀌면, 차도 바뀌어야 한다. 판매 후에도 함께하는 고객 솔루션 중고차 시장의 새 패러다임-천마상사 (란딴뚠)안상준 대표
대부분의 중고차 시장은 이렇게 작동한다. 차가 입고되고, 판매되고, 보증 기간이 끝나면 관계도 끝난다. '처분하듯' 서둘러 정리를 끝내는 구조는 ‘상품’에만 집중한다. 차를 사는 순간, 고객의 삶은 시장에서 지워진다. 여기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신뢰의 경제학이다. 한 번의 거래로 끝나는 시장은 단기적 이익은 취하고 나머지는 고객의 몫으로 남는
-
《사설》 죽어야 끝나는 교제폭력
죽어야 끝나는 교제폭력 “그렇게 입지 마” “○○ 만나지 마” 교제폭력의 시작은 ‘강압적 통제’라고 한다. 2007년 에번 스타크 미국 럿거스대학 교수가 처음 사용한 ‘강압적 통제’는 “상대방 일상에 대한 간섭과 규제, 비난하기, 가족·지인 등에게서 고립시키는 등의 가해 행위”를 전반적으로 일컫는다. 처음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통제 욕구는
-
《사설》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정치판...여야는 각성해야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정치판...여야는 각성해야 제도권 정치가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현상이 위험 수위를 넘었다. 극단적 친여·친야 성향 유튜브 채널들은 적대와 혐오의 정치를 조장해 수익을 내고, 정치권은 지지층을 손쉽게 결집하는 데 유튜브 팬덤을 활용하는 구조다. 정당들이 의제 설정과 이슈 생산 기능을 유튜브에 의존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조희대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